본문 바로가기

시사 상식

건강검진의 종류와 시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

 

1. 국가건강검진 (일반 건강검진)

대상: 지역가입자, 직장가입자, 의료급여 수급권자 등
주기: 2년마다(비사무직 근로자는 매년)
검사항목:

  • 신체 계측 (신장, 체중, 혈압 등)
  • 혈액검사 (혈당, 콜레스테롤, 간기능, 신장기능 등)
  • 소변검사
  • 흉부 X-ray (결핵·폐 질환)
  • 인지기능검사(만 66세 이상)

2. 생애전환기 건강검진

대상: 만 40세, 만 66세
주기: 해당 연령 도달 시 1회
검사항목:

  • 일반 건강검진 항목 포함
  • 추가 검사 (우울증 검사, 노인기능평가 등)

3. 암 검진 (국가암검진)

대상: 연령별, 성별 대상자
주기: 암 종류별로 다름
검사항목:

  • 위암: 만 40세 이상, 2년마다 (위내시경 또는 위장조영검사)
  • 대장암: 만 50세 이상, 매년 (분변잠혈검사, 필요 시 대장내시경)
  • 간암: 만 40세 이상 고위험군, 6개월마다 (간초음파, 혈청검사)
  • 유방암: 만 40세 이상 여성, 2년마다 (유방촬영)
  • 자궁경부암: 만 20세 이상 여성, 2년마다 (자궁경부세포검사)

4. 직장 건강검진

대상: 근로자
주기:

  • 일반 근로자: 2년마다 1회
  • 비사무직 근로자: 매년 1회
    검사항목: 일반 건강검진과 유사

5. 특수 건강검진

대상: 유해물질 취급 근로자 (유기용제, 중금속 등 노출 가능 직종)
주기: 작업환경에 따라 6개월~2년마다
검사항목: 직업병 관련 정밀검사 (혈액, 소변, 폐기능검사 등)


6. 학생 건강검진

대상: 초·중·고등학생
주기: 학교급별 정해진 연령에서 시행
검사항목: 시력, 청력, 구강검진, 척추측만증 검사 등


7. 영유아 건강검진

대상: 만 4개월~6세 영유아
주기: 총 8차례 (4개월, 9개월, 18개월, 30개월, 42개월, 54개월, 66개월)
검사항목: 성장·발달 평가, 비만·청각·시각·구강검진 등


8. 예방접종 및 특정질환 건강검진

  • 예방접종: 독감, 폐렴구균, A·B형간염 등
  • 기타 건강검진: 골다공증 검사(만 54·66세 여성), 치매검진(만 60세 이상) 등

이와 같이 건강진단은 연령, 직업, 건강상태에 따라 다양한 검진 항목과 주기로 진행됩니다.

반응형